마케팅18 [구글애즈] 관찰과 타게팅 중 어떤게 더 높은 성과를 낼까? 관찰과 타게팅 중 어떤 잠재고객 세그먼트 옵션의 성과가 더 높은지 알기 위해, 직접 A/B테스트를 했어요. 그 내용을 공유할게요. 결론부터 말하면, 관찰의 성과가 더 높았어요. 1. 관찰과 타게팅 설명 2. 실험 결과 1. 관찰과 타게팅 설명 관찰과 타게팅에 대해 간단한 게 말씀드리면 아래 표와 같아요. 분류 정의 잠재고객 세그먼트 크기(노출수) 권장 캠페인(by Google) 관찰 설정한 잠재고객 세그먼트 이외의 유저에게도 광고 노출(논타게팅) 타게팅보다 큼 검색광고 캠페인 타게팅 광고에서 선택한 잠재고객 세그먼트에게만 광고 노출 관찰보다 작음 배너광고 캠페인(디스플레이) 더 자세한 차이, 세팅 방법, 활용 방법 등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 [구글 애즈] 타겟팅 vs 관찰: 누구에.. 2023. 10. 2. [구글 애즈] 타겟팅 vs 관찰: 누구에게 광고를 노출 시킬까? 구글 애즈 기능 중, 타겟팅과 관찰의 차이를 이야기해볼게요. 데이터와 노출수, 즉 광고 성과에 영향을 주니 꼭 둘의 차이를 알고 광고를 집행해야 해요! B2B SaaS 제품을 마케팅하는 제가 가장 애정하는 매체는 구글이죠. 타 매체 대비 성과가 압도적으로 좋거든요. 그래서 구글의 이런저런 기능을 많이 만져보는데요. 구글의 "잠재고객 세그먼트 수정" 페이지(캠페인 선택 > 잠재 고객 > 잠재고객 세그먼트 수정)에는 관찰 기능과 타겟팅 기능이 있어요. 그림1과 같이 둘의 정의가 잘 나와 있는데요. 타겟팅은 광고에서 선택한 잠재고객 세그먼트에게만 노출해요. 반면 관찰은 논타겟팅이죠. 설정한 잠재고객 세그먼트 이외의 유저에게도 광고를 노출시켜요. 저는 처음에 이걸 보고, '잉? 디지털광고의 핵심은 정확한 타겟팅.. 2023. 10. 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