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구글 스마트 입찰 1편] 구글 애즈의 4가지 광고 입찰 전략

by 보(BEAU) 2023. 10. 28.

구글 애즈의 핵심은 캠페인의 명확한 목표 설정이잖아요. 캠페인에게 명확한 목표를 입력시키는 방법이 입찰 전략 설정이에요. 구글 애즈에 어떤 입찰전략이 있는지와 입찰 전략 로드맵에 대해 알아볼게요.

 

구글 애즈에는 4가지 입찰 전략 있어요. 전환 수 최대화, 타겟 CPA, 전환 가치 극대화, 타겟 ROAS 이렇게 4가지인데요. 광고의 성패를 결정하는 입찰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목차]

1. 4가지 입찰 전략 

2. 내게 맞는 입찰 전략은?

3. 스마트 입찰 전략 로드맵


1. 4가지 입찰 전략

  전환 수 기반 입찰 전략
: 전환 수 최대 확보에 집중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전략
: 전환 가치 최대 확보에 집중
최대 수치 달성 목표 전환 수 최대화
: 주어진 예산에서 최대한의 전환 수를 만드는 입찰 전략
전환 가치 극대화
: 주어진 예산에서 최대한 많은 전환 가치를 만드는 입찰 전략
비용 효율 달성 목표 타겟 CPA
: 목표한 전환당 비용(CPA)에서 가능한 전환 수를 만드는 입찰 전략
타겟 ROAS
: 목표한 비용당 전환 가치(ROAS)를 유지하면서 최적화하는 입찰 전략
캠페인 주요 KPI 전환율, 전환당 비용(CPA) 전환 가치, 비용당 전환 가치(ROAS)

입찰 전략은 전환 수를 목표로 할지, 전환 가치를 목표로 할지에 따라 2가지 트랙으로 나뉘어요. 그리고 그 안에서 절대 수를 중시할지, 비용 효율을 중시할지를 고려하여 2가지 선택지가 또 있죠. 그래서 총 4가지(2x2) 입찰 전략이 있어요. 

a. 전환 수 vs 전환 가치

전환 수 기반 입찰 전략은 말 그대로 전환 수를 최대화하는 전략이에요. 반면,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전략은 전환 가치를 극대화하는 입찰 방식이죠.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전략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광고주가 CLV(고객 생애 가치, Customer Lifetime Values)를 고려하여, 각 전환의 금전적 가치를 구글 애즈 시스템에 입력해야 해요. 참고로, CLV는 유저가 일생동안 서비스에서 발생시키는 매출이에요.

전환 가치 입력 페이지
전환 가치 입력 페이지

> CLV(Customer Lifetime Value) 구하는 방법 알아보기

 

유저가 이용 기간 동안 발생하는 총 매출은? CLV 계산해봤어요.

구독 서비스의 마케팅 성과는 CLV를 기반으로 평가해야 해요. 마케팅 성과를 연속성 있고 더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죠. CLV의 정의, 중요성, 공식 그리고 SaaS 마케터인 제가 직접 계산한

hjmkt.tistory.com

커머스 광고주를 예시로 2가지를 구분해 볼게요. 광고주는 신규 가입과 구매를 전환으로 광고 캠페인을 운영하는데요. 신규 가입에는 5,000원의 전환 가치를, 구매에는 10,000원의 전환 가치를 설정했어요. 전환 수 기반 입찰 전략은 신규 가입 전환과 구매 전환을 구분하지 않고, 많은 전환을 만드는데 집중해요. 하지만,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전략은 전환 가치가 더 높은 구매 전환을 일으키는데 더 집중하죠.

b. 절대 수치 달성 목표 vs 비용 효율 달성 목표

전환 가치와 전환 수 중 더 중요한 입찰 전략을 선택했다면, 절대 수치를 중시할지, 비용 효율을 중시할지에 따라 입찰 전략이 또 달라져요.

타겟 CPA(Cost Per Action)는 비용 효율을 고려하여 전환 수를 최대화하는 입찰 전략이에요. 캠페인의 KPI를 "전환 당 단가 N원"으로 설정하는 거죠. 그래서 예산 내에서 최대한의 전환 수를 달성할 수 있어요.

타겟 ROAS는 비용 효율을 고려하여 전환 가치를 극대화하는 입찰 전략이에요. 캠페인의 KPI를 "ROAS n%"로 설정하여 예산 내에서 최대한의 ROAS를 달성하고자 하죠.

 

2. 내게 맞는 입찰 전략은?

상황에 따라 다른 입찰 전략
상황에 따라 다른 입찰 전략

입찰 전략은 광고 성과에 큰 영향을 줘요. 캠페인의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과 더불어 캠페인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에 맞는 입찰 전략을 설정해야 하죠. 4가지 입찰 전략 중 구글은 "타겟 ROAS"가 가장 고도화된 솔루션이라고 말하지만, 비즈니스 그리고 회사 상황마다 적합한 입찰 전략이 달라요.

(주의!!) 입찰 전략 설정에서 욕심을 버리고 하나의 KPI만 가져가야 해요!!! 전환 수 최대화 입찰 전략을 설정했다면, 노출, 클릭 같은 지표로 캠페인을 성과를 해석하면 안 돼요.

 

3. 스마트 입찰 전략 로드맵

입찰 전략 로드맵
입찰 전략 로드맵

Step1 - 일단 전환 수 최대화로 캠페인을 운영하며, 최소 4주 이상 전환 데이터를 쌓아 주세요. 그리고 전환 수가 안정화 되었는지 트래킹 해주세요.

Step2 - 전환 수 최대화 캠페인을 운영하며, 전환 수와 CPA가 안정되면, 타겟 CPA로 바꿔주세요. 타겟 CPA는 평균 CPA의 120%로 시작하고, 점차 타겟 CPA를 낮춰가며 운영하세요.

Step3 - 전환 수 최대화 캠페인이 안정되었다면, Step2를 스킵하고 전환 가치 극대화로 캠페인을 운영해도 괜찮아요. 그러니 매출 같은 전환 가치를 극대화하고 싶다면, 각 전환에 CLV를 설정하고, 전환 가치 극대화로 변경하세요.

Step4 - 전환 가치 극대화 캠페인을 30일 이상 운영했고, 30일간 50건 이상의 전환이 쌓였다면, 타겟 ROAS변경을 추천해요. 초기에는 타겟 ROAS를 평균 ROAS의 90%로 시작하고, 점차 상향해주세요. 참고로 타겟 ROAS 캠페인은 예산 제약 없이 운영해야 해요!


여기까지 구글 애즈의 4가지 광고 입찰 전략에 대해 알아봤어요. 다음 글에서는 4가지 입찰 전략에 대해 하나하나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볼게요.

 

> [구글 스마트 입찰 2편] 구글 애즈의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알아보기

 

[구글 스마트 입찰 2편] 구글 애즈의 전환 가치 기반 입찰 알아보기

구글 애즈의 전환 가치 기반 입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가치 기반 입찰 전략의 종류, 전환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설정하는 방법까지 이야기하려 해요. 지난 1편에서는 구글 애즈의

hjmk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