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문과생의 SQLD(SQL 개발자) 5주 합격 후기/공부법

by 보(BEAU) 2023. 10. 3.

마케팅 실무에 활용하고자 SQLD를 취득했는데요. 어떻게 공부했는지 이야기해 볼게요. 최근 마케팅 채용공고를 보면 SQL 역량을 선호하는데요. 기획자나 마케터를 꿈꾼다면 본 아티클을 참고하여 SQLD를 취득해 보세요!

 

저는 B2B SaaS 제품을 마케팅하고 있어요. 마케팅 의사결정을 할 때나 개선점을 찾을 때, 데이터를 보는데요. 개발팀에 고객 데이터를 종종 요청하고, GA 같은 마케팅 데이터를 주로 봐요. 여기서 SQL을 다룰 줄 알면, 번거롭게 개발팀에 고객 데이터를 요청할 필요 없이, 원하는 데이터를 맘대로 조회를 할 수 있어요. 뿐만 아니라, GA 같은 다양한 마케팅 데이터를 구글 빅쿼리에 저장하고 조회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문과생이지만, 지난 6월  SQLD(SQL 개발자) 자격증을 취득했어요. 어떻게 공부했는지 그리고 결과는 어땠는지 이야기해 볼게요.

 

1. 공부방법

2. 결과

3. SQLD 추가 정보(2023년 시험 일정, 유효 기간 및 영구화 방법)


1. 공부 방법

2주에 걸쳐 4시간짜리 실무 강의를 듣고, 3주 동안 시험공부를 했어요. 실무 강의와 시험공부에 대해 공유하려 하는데요. 실무 강의를 스킵하고, 제가 공부한 방법으로 4~5주 정도 공부하면 누구나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 자격증이에요. 그러니 비전공자도 겁먹을 필요 없어요!

 

a. 실무 강의(2주) - 선택사항

스파르타코딩 클럽에서 "엑셀보다 쉽고 빠른 SQL"을 수강했어요. 기획자와 마케터를 대상으로 한 강의이기에, SQLD의 아주 일부분, 약 30% 정도인 데이터 조회 부분만 다뤄요. 2주 동안 하루에 1~2시간 정도 할애하여, 복습도 철저히 하고, 총 2회 들었어요. 실무에 적용하는 게 목표였기에, 자격증 자체는 사실 큰 의미가 없었죠. 자격증은 공부를 하기 위한 동기부여 정도였어요. 그래서 실무 강의를 수강한 거예요.

 

b. 시험공부(3주) - 앞선 실무 강의를 안 들었다면 4~5주 공부 추천

시험공부는 1주는 설렁설렁하고 2주는 열심히 했어요. 1주는 그냥 하루에 1시간 정도 짬나는 대로 공부했고, 2주는 시험 준비에 몰두했죠. 주말을 모두 할애하고, 주중에도 퇴근 후 시험 준비만 했어요. 처음 준비하는 시험이었기에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지만, 지금 생각하면 아래 순서로 공부할걸...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아래의 순서에 따라 공부하시면 합격할 수 있어요.

 

[준비 과정 및 시험 준비에 도움 준 자료]

Step1. 유튜브 무료 이론 강의 수강

실무 강의를 들었지만 이론 강의를 또 들었어요. 실무강의는 시험 범위의 30% 정도만 커버하거든요. 그래서 다른 부분도 이해하기 위해, 아래의 무료 유튜브 강의를 수강했죠. 이론 강의 안 듣고 합격했다는 후기가 있던데요. 이론을 이해하는 걸 추천해요. SQLD가 문제은행이 아니기에, 이론강의를 들으면 다음 스탭인 이론 축약본 공부 시간과 문제 풀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요. 아래 추천하는 강의는 주말 2일이면 모두 듣고 복습할 수 있는 분량이에요. 아래 강의 역시 시험범위의 한 90% 정도만 다루는데요. 강의를 들으면 문제 푸는데 큰 어려움 없을 거예요. 문제 풀다 처음 보는 개념이나 어려운 부분은 유튜브나 구글링 통해서 습득하면 됩니다.

>> 유튜브 무료 강의 링크

 

Step2. 이론 요약본 공부

SQLD 준비하는 사람 대부분이 정보를 얻는 커뮤니티인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에서 요약본을 구할 수 있어요. 아래 링크에 다양한 사람이 작성한 요약본이 있으니, 마음에 드시는 걸 다운로드해서 공부하면 돼요. 그런데 어디까지나 요약본이니 내용이 좀 부족한 면이 있어요. 그래서 Step1에서 공부한 내용과, Step3와 Step4에서 문제를 풀며 얻은 이론을 요약본에 보충했어요.

>> 데이터 전문가 포럼에서 요약본 다운로드하기

 

Step3. 노랭이 문제집 2 회독(문제 풀기 & 오답체크) + 이론 요약본 내용 보충

"SQL 자격검정 실전 문제"(일명 노랭이)는 SQLD 준비하는 사람에게는 바이블 같은 존재예요. SQLD가 문제은행이 아니지만 노랭이에서 똑같은 문제가 나와요. 저 때도 한 4문제 정도 나온 거 같아요. 그러니 꼭 풀고 시험장에 가야 하는데요. 저는 "1회 풀기 -> 강의 듣기 -> 조금이라도 헷갈리거나, 어려웠던 문제만 선택적으로 다시 풀기" 이렇게 총 3번 봤어요. SQLP 문제도 수록되어 있어서 정말 너무 어려운 문제도 있는데요. 걱정 마세요. SQLD 실제 시험은 노랭이 문제집보다 훨씬 쉬워요. 그러니 너무 어려운 문제는 그냥 스킵하세요. '그 문제 나오면 틀리지~ '라는 마인드로 공부하는 게 완주하는 방법이에요. 저도 처음에 모두 이해하려다가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았는데요. 결국, 너무 어려운 문제는 스킵했죠. 참고로 "과목Ⅱ SQL 기본 및 활용 - SQL 최적화 기본 원리" 이후는 SQLD 시험 범위가 아니니 풀지 마세요! 노랭이 풀면서 나오는 새로운 이론은 꼭 요약본에 정리해 주세요.

>> SQL 자격검정 실전 문제(노랭이) 사러 가기

>> 문제풀이 강의(SQL 전문가 정미나)

>> 문제풀이 강의(어쩌다 DBA)

 

Step4. 기출문제 공부(문제 풀기 & 오답체크)  + 이론 요약본 내용 보충

최신 기출은 찾기가 어려웠고, 인터넷상에서 찾은 기출을 최신 순으로 5회분 풀었어요. 앞서 말씀드렸지만, 기출 그리고 실제 시험이 노랭이보다 훨씬 쉽답니다. 풀다 보면 노랭이로 잃었던 자신감을 찾을 수 있었어요. 풀면서 새로 알게 된 개념은 요약본에 꼭 보충해 주세요!

>> SQLD 기출 풀기(Study with Yuna 티스토리)

>> SQLD 기출(34회,30회).zip

Step5. 노랭이와 기출 틀린 문제 다시 보기 & 이론 요약본 복습

시험 3일 전부터는 복습에 집중했어요. 노랭이와 기출에서 틀린 문제를 다시 보고, 정리한 개념도 다시 봤죠. 마지막으로 시험 전날에는 요약본만 계속 봤어요. 계속 보다 보니 머릿속에 이미지처럼 그려지더라고요.

 

2. 결과

60점이 합격 커트라인인데 76점으로 꽤나 여유롭게 합격했어요. 사실 시험장 나올 때 합격에 확신했었어요. 위에서 추천한 방법으로 공부하면 비전공자도 누구나 여유롭게 합격할 수 있어요. 

시험 성적
시험 성적

3. SQLD 추가 정보(2023년 시험 일정, 자격증 유효 기간 및 영구화 방법)

a. 2023년 남은 시험 일정

SQLD(SQL 개발자)는 분기에 1번씩 시험이 있기에, 올해는 11월(51회)에 시험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수험료는 5만 원이에요.

2023년 시험 일정 // 출처 : Kdata(데이터자격검정) 웹사이트 www.dataq.or.kr
2023년 시험 일정 // 출처 : Kdata(데이터자격검정) 웹사이트 www.dataq.or.kr

b. SQLD 유효 기간 및 영구화 방법

SQLD 유효 기간은 2년인데요. 시험 주최 측에서 제공하는 보수교육을 들으면 영구화가 가능해요. 취득 후 18개월 ~ 24개월 사이에 보수 교육을 들을 수 있는데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마이페이지 > 보수교육"에서 들을 수 있어요. 저는 취득 한지 18개월이 되지 않아 보수 교육이 아직 보이지 않네요.

보수 교육 페이지 //출처 : Kdata(데이터자격검정) 웹사이트 www.dataq.or.kr
보수 교육 페이지 //출처 : Kdata(데이터자격검정) 웹사이트 www.dataq.or.kr

SQL은 마케터, 기획자가 사용할 줄 알면, 실무에 도움이 많이 되고, 최근 채용공고에서도 우대 사항으로 기재하고 있는 만큼, 마케터나 기획자를 꿈꾼다면 공부하는 걸 추천드려요. 비전공자도 한 달 정도만 공부하면 어렵지 않게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니, 한 번 고려해 보세요.